반응형
건설업계의 위기설
- 중견 건설사들의 붕괴: 중견 건설사들이 줄줄이 무너지면서 **'4월 위기설'**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.
- 4월의 중요성: 4월은 12월 결산법인의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가 공개되는 시기이므로, 이 시기에 무너지는 건설사가 많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.
- 과거의 위기설: 이러한 위기설은 2년 전과 지난해에도 매년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으며, 업계에서는 **"더는 여력이 없다"**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.
- 업계의 반응: 관가에서는 매년 **"시즌마다 위기설"**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, 건설업계에서는 심각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있다.
법정관리 신청 현황
- 기업회생절차 신청: 올해 1분기가 끝나기 전에 7곳의 건설사가 기업회생절차(법정관리)를 신청하였다.
- 신청한 건설사 목록:
- 신동아건설 (58위)
- 삼부토건 (71위)
- 대우조선해양건설 (83위)
- 대저건설 (103위)
- 삼정기업 (114위)
- 안강건설 (138위)
- 벽산엔지니어링 (180위)
- 워크아웃과 기업회생의 차이: 워크아웃은 기업과 채권단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, 기업회생은 법원의 판단에 따라 기업의 운명이 결정된다.
- 신청 이유: 기업회생은 일반적으로 채권을 갚을 방법이 없는 경우에 신청된다.
폐업 증가와 미분양 문제
- 폐업 현황: 올해 1~2월 동안 109곳의 종합건설업체가 폐업하였으며,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곳 증가한 수치이다.
- 최고치 기록: 2011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폐업 수치로, 전문건설업체를 포함하면 634곳에 달한다.
- 미분양 주택 증가: 국토교통부에 따르면, 전국 미분양 주택은 1월 말 기준으로 7만2624가구에 이르며, 이는 11년 3개월 만에 최대 규모이다.
- 자금난의 원인: 미분양이 증가함에 따라 건설사들은 미수금으로 인해 자금난에 빠지게 된다.
대형 건설사의 자산 매각
- 대형 건설사의 상황: 상대적으로 체력이 좋은 대형 건설사들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자산 매각에 나서고 있다.
- 미수금 현황: 지난해 9월 기준으로 10대 건설사의 공사 미수금은 20조원에 달한다.
- 자산 매각 사례:
- 롯데건설: 서울 서초구 잠원동 본사 부지 매각 추진, 1조원 규모 자금 확보 계획.
- SK에코플랜트와 GS건설: 폐기물 및 수처리 자회사를 매각하여 캐시카우 역할을 하려 함.
- 업계의 우려: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저금리 시기에 공격적으로 수주한 사업들이 현재는 부담이 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.
이자 보상 배율과 재무 구조
- 이자 보상 배율: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, 2292곳의 건설사 중 1089곳은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으로 집계되었다.
- 영업이익 부족: 이는 **47.5%**의 건설사가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- 재무 구조의 위기: 많은 건설사들이 이자 낼 돈도 없어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.
- 위기설의 반복: 지난해 4월 위기설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기점이 되었으며, 이는 부동산 PF의 부실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.
위기설의 반복과 현재 상황
- 올해의 심각성: 업계 관계자들은 올해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고 평가하고 있다.
- 위기 대응 여력 부족: 중견 건설사 사이에서는 **"위기에 대응할 여력은 바닥났다"**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.
- 사례: 안강건설은 부채비율이 **157%**로 안정적이었으나, 물류센터의 책임 준공 기한을 어기면서 830억원의 PF 채무를 떠안게 되었다.
- 위기설의 신뢰성: 일부에서는 위기설을 양치기 소년의 거짓말로 치부하지만, 실제로 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.
정부의 구조조정 입장
- 정부의 입장: 정부는 적절한 구조조정을 통해 건설경기 부진이 경제 전반의 위기로 번질 가능성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.
-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: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**"파산할 건설사는 파산해야 한다"**고 언급하며, 구조조정 없이 모든 건설사를 살리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하였다.
- 기획재정부의 의견: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**"취약해진 건설사가 퇴출당하는 것이 시장의 자연스러운 흐름"**이라고 말했다.
- 시장 안정화 필요성: 이러한 정부의 입장은 건설업계의 안정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진다.
반응형
'오늘의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-03-25] 한국 요르단 (1) | 2025.03.25 |
---|---|
25-03-25]강동구 싱크홀 (0) | 2025.03.25 |
푸틴의 휴전 필요성 언급 (0) | 2025.03.15 |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작 (0) | 2025.03.15 |
현대제철의 비상경영 체제 (0) | 2025.03.15 |